작은 두 손으로 만드는 더 큰 세상
[사설]'창동 살리기' 공공·민간기관 협약 잇따라
마산 창동 살리기가 다시 시작됐다. 최근 30여 개의 기관과 기업, 대학 등이 창동통합상가상인회와 업무 협약을 맺고 각종
지원에 나서고 있다. 특히 창동 일대 상권들이 매출이 저조하다는 소식에 시장 활성화 방안이나 금융 지원 등도 나오고 있다.
경남신용보증재단은 신용 보증을 통한 금융지원과 상권 회복을 위한 컨설팅 지원에 나섰다. 창원시상권활성화재단과 창원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는 외국인 근로자나 관광객의 창동에서 소비를 늘리기 위해 각종 안내시설이나 문화 지원에 나설 계획
이고, 상인회도 창동 거리를 외국인 친화 거리로 조성키로 했다. 창원한마음병원은 상인회와 업무협약을 맺고 상인들에게
건강 관리 혜택도 제공한다.
공공·민간이 창동 지원에 나선 것은 본지의 창동상권 침체 보도 이후 강화됐다. 본지는 지난 2월 중순 창동의 침체된 현실을
그대로 드러내 보였다. 한 집 건너 나붙는 임대 표지와 텅텅 빈 창동의 모습 등을 보도한 바 있다. 창동 침체의 아쉬운 점은
지역사회의 침체가 연관되기 때문일 것이다. 한때 창동은 ‘경남의 명동’이라 불릴 정도로 왕성했다. 토요일 저녁에는 창동
입구부터 떠밀려 들어갈 정도로 수많은 인파로 붐볐고, 상권은 활성화됐다. 창동은 경기 측정의 바로미터이자 지역 활성화의
표본이라 할 정도였다. 이런 창동이 어느 순간부터 침체의 국면에 접어든 이후 끝없는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시에서
그동안 1000억원이 넘는 예산을 쏟아부었다. 창동 학문당 쪽샘 골목과 옛 시민극장 주변 골목 등 400m에 이르는 골목길에
예술촌을 조성해 활성화를 기해봤지만 더 이상 나아지지 않았다.
기관들의 다양한 지원은 꼭 필요한 일이지만 당장 상권이 살아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항상 관심을 갖고 있어야 한다.
이번처럼 공공·민간기관들이 발 벗고 나서면 다시 한번 해보자는 의욕이 일기 마련이다. 상인들도 친절함 등으로 무장해
상권을 살리는 데 앞장서야 할 뿐만 아니라 각종 기관들의 지원을 받을 경우 효과를 키워야 한다. 기관들의 관심과 지원이
있는 이때, 창동 상권을 살릴 방안 마련에도 모두 머리를 맞대 깊은 고민을 해야 한다. 다시 불붙은 창동 살리기를 응원한다.
51266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 대로 203(중앙동 2가) 1층 Tel. 055-714-1093~6 / Fax 055-714-1173 /
E-mail mfwc@hanmail.net
Copyright(c) 창원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All Right Reserved